• 노무법인 와이즈 즐겨찾기
  • l
  • 견적 및 문의
  • l
  • ADMIN

LOGO

  • 법인소개
    • 와이즈 소개
    • 인사말
    • 노무법인 와이즈의 특징
    • 찾아오시는 길
  • 업무분야
    • 기업체 자문 및
      4대보험 사무대행
    • 인사컨설팅(HR컨설팅)
    • 각종 노동사건 처리
    • 집단적 노사관계업무 지원
    • 교육사업
    • 프랜차이즈 업무
    • 손해사정 업무
  • 구성원
    • 본사
    • 강남지사
    • 협력 및 자문위원단
  • 소식/자료
    • 공지사항
    • 보도자료
    • News & Law
  • 고객센터
    • 견적 및 문의
소식/자료
  • 공지사항
  • 보도자료
  • News & Law
  • HOME
  • 소식/자료
  • 보도자료
보도자료

大法 “연차유급휴가 산정시, 쟁의행위 기간 배제”

노무법인 와이즈 | 2014.01.15 01:52 | 조회 1674
  • 인쇄인쇄
  • 글꼴
  • 확대
  • 축소
폰트키우기 폰트줄이기 프린트하기 메일보내기 신고하기
승인 2014.01.02  15:35:57
트위터 페이스북 미투데이 네이버 구글 msn

연차유급휴가를 산정하는 근로 일수를 계산할 때 정당한 쟁의행위기간을 제한 기간을 기준으로 출근율을 산정해야 한다는 대법원 판례가 나와 이목을 끌고 있다.


대법원은 지난달 26일 “연간 소정근로일수에서 쟁의행위 기간을 제외한 나머지 일수를 기준으로 근로자의 출근율을 산정하되 ‘연간 소정근로일수에서 쟁의행위 기간을 배제한 나머지 일수’를 ‘연간 소정근로일수’로 나눈 비율을 곱해 산출된 연차유급휴가일수를 부여해야 한다”고 판결했다.


대법원은 연차유급휴가일수 산정에 있어 근로자의 정당한 권리행사 보장과 연차유급휴가가 1년간의 근로에 대한 대가로서의 성질을 갖고 있는 점, 현실적인 근로의 제공이 없었던 점, 쟁의행위 등 기간에는 원칙적으로 근로의 대가를 부여할 의무가 없는 점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입장을 취했다.


연차유급휴가의 성질에 대해 대법원은 “근로자가 사용자에게 근로를 제공하는 관계에 있다는 사정만으로 당연히 보장받을 수 있는 것이 아니라, 1년간 8할 이상 출근했을 때 비로소 부여받을 수 있는 것”이라며 “1년간의 근로에 대한 대가”라고 판시해 왔다. 따라서 연차휴가수당은 임금이라는 것. (대법원 1991. 11. 12. 선고 91다14826 판결, 대법원 2000. 12. 22. 선고 99다10806 판결 등 참조)


이같은 입장을 기초로 대법원은 정당한 쟁의행위 기간이나 육아휴직 기간 등을 근로일수에 포함시킬 수 있을 것인지를 판단했다.


연간 소정근로일수를 산정하기 위한 기준에 대해 대법원은 “연간 소정근로일수는 본래 사용자와 근로자 사이에 평상적인 근로관계, 즉 근로자가 사용자에게 근로를 제공해 왔고 또한 계속적인 근로제공이 예정돼 있는 상태를 전제로 한 것”이라고 정의했다.


이어 “근로자가 정당한 쟁의행위를 하거나 육아휴직을 해 현실적으로 근로를 제공하지 않은 경우 이는 헌법이나 법률에 의해 보장된 정당한 권리행사로 이를 이유로 부당하거나 불리하게 처우하는 것은 법률상 금지돼 있다”고 말했다. 따라서 근로자가 본래 연간 소정근로일수에 포함되었던 쟁의행위 등 기간 동안 근로를 제공하지 않았더라도 결근한 것으로 볼 수 없다는 것.


그러나 대법원은 “그 기간 동안 근로자가 현실적으로 근로를 제공한 바 없고 근로기준법,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남녀고용평등법 등 관련 법령에서 ‘출근한 것으로 본다’는 규정을 두고 있지도 않아 근로자가 출근한 것으로 의제할 수도 없다”고 봤다.


이같은 연차유급휴가의 특징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대법원은 “연간 소정근로일수에서 쟁의행위 등 기간이 차지하는 일수를 제외한 나머지 일수를 기준으로 근로자의 출근율을 산정해 연차유급휴가 취득 요건의 충족여부를 판단해야 한다”고 판시했다.


이어 “요건이 충족된 경우 본래 평상적인 근로관계에서 8할의 출근율을 충족했을 경우 산출됐을 연차유급휴가일수에 대해 ‘연간 소정근로일수에서 쟁의행위 등 기간이 차지하는 일수를 제외한 나머지 일수’를 ‘연간 소정근로일수’로 나눈 비율을 곱해 산출된 연차유급휴가일수를 부여한다”고 설명했다.


대법원은 “원심이 연간 소정근로일수에서 쟁의행위 기간을 제외한 나머지 일수를 기준으로 근로자의 출근율을 산정하고 ‘연간 소정근로일수에서 쟁의행위 기간을 배제한 나머지 일수’를 ‘연간 소정근로일수’로 나눈 비율을 곱해 산출된 연차유급휴가일수를 정한 것은 적합하다’고 판단했다.
 

안혜성 기자  |  desk@lec.co.kr
<저작권자 © 법률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목록으로
  • 공지 도서명: 2022 알기 쉬운 근로관계법 실무
    (도서 소개) *도서명: 2022 알기 쉬운 근로관계법 실무 저자 박소민 출판사 조세통람 출간일 2022. 2. 18 2022년 시행되는 제·개정 법령 및 최신판례·행정해석 모두 수록!...
    노무법인 와이즈 2022.06.30
  • 법원 "교통비·식대·정근수당, 육아휴직급여에 포함"
    대법원 '통상임금' 판례 따른 하급심 판결 (서울=연합뉴스) 서혜림 기자 = 회사에서 정기적으로 지급된 교통비, 식대보조비, 정근수당이 육아휴직급여 산정 항목에 포함돼야 한다는 법원 판단이 ...
    노무법인 와이즈 2014.03.31
  • '노동권 보호정책' 허무는 것이 규제개혁이라고?
    노동부 '5인 미만 사업장 청년인턴 채용확대' 방침에 노동계 반발 방하남 고용노동부 장관이 취업이 어려운 청년들에게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하기 위해 5인 미만 사업장도 청년인턴을 고용할 수 있...
    노무법인 와이즈 2014.03.24
  • 자가운전 출근 중 교통사고 산재 인정
    근로복지공단 출퇴근 판단기준 변경 영향 자기 소유의 자동차를 이용해 출근하다 교통사고를 당한 노동자가 산재 인정을 받아 주목된다.16일 노동법률원·법률사무소 새날에 따르면 항공사총판대리점에서...
    노무법인 와이즈 2014.03.17
  • [경제혁신 3개년 계획] 청년·여성 일자리 2017년까지 160만개 만든다
    일자리 확대 현장서 바로 쓸수 있는 청년 직업·기술교육 확대육아휴직·출산휴가 썼을 때 부당해고하면 제재 강화[ 강현우 기자 ] 경제혁신 3개년 계획 중 정부가 제시한 고용정책 청사진은 2017년까지...
    노무법인 와이즈 2014.02.26
  • 대법원 전원합의체 통상임금 판결에 '신의칙'이 등장한 배경은?
    지난해 12월18일 나온 대법원 전원합의체의 통상임금 판결에 난데없이 ‘신의성실의 원칙’이 등장한 배경은 무엇일까. 이와 관련해 사법부가 기업과 노조의 장시간 근로 담합구조를 용인한 상태에서 신의칙...
    노무법인 와이즈 2014.02.21
  • 내달부터 月600만원 급여자 원천징수 세금 3만원 증가
    인가구 기준 연 세부담 증가액 36만원, 1천만원은 120만원정부, 22개 세법 시행령 개정안 입법예고(세종=연합뉴스) 유경수 기자 = 월소득 600만원을 기점으로 내달부터 월급쟁이의 세부담이 늘어...
    노무법인 와이즈 2014.02.13
  • 노동계 올해 임단협서 '통상임금 역풍' 피하려면
    "퇴직자 일할·월할 지급" 요건 적극 활용 … '재직요건' 걸린 제 수당은 기본급화 #1. 직원 163명이 근무하는 제조업체 A사의 임금테이블은 기본급과 노사가 합의한 통상임금·기타수당...
    노무법인 와이즈 2014.02.05
  • 과로사 삼성전자서비스 노동자에 첫 산재인정
    서울행정법원 유족급여 지급 결정 … 지난해 9월 사망한 칠곡센터 노동자 산재 여부 ‘관심’ 김학태 | tae@labortoday.co.kr 과로에 시달리다가 숨진 삼성전자서비...
    노무법인 와이즈 2014.01.24
  • 大法 “연차유급휴가 산정시, 쟁의행위 기간 배제”
    승인 2014.01.02 15:35:57 연차유급휴가를 산정하는 근로 일수를 계산할 때 정당한 쟁의행위기간을 제한 기간을 기준으로...
    노무법인 와이즈 2014.01.15
  • [노동법학회 통상임금 학술대회] "근로기준법에서 통상임금 개념 없애자"박종희 교수 "제 수당은 평균임금 기준으로 산정, 가산임금 산정기준은 따로 규정"
    승인 2014.01.13 ▲ 구은회 기자 대법원 전원합의체가 지난달 18일 통상임금 판결을...
    노무법인 와이즈 2014.01.15
  • 대법원 "정기상여금은 통상임금" 판결(2013.12.18)
    [한겨레]연장·휴일근로 수당 늘게 돼…"추가임금 청구는 판결 이후만"정기상여금이 통상임금에 해당된다는 대법원의 최종 판결이 나왔다.대법원 전원합의체(재판장 양승태 대법원장)는 18일 자동차 부품업체...
    노무법인 와이즈 2013.12.19
  • "직무 관련 업체에서 받은 축의금은 뇌물"(대법원)
    http://blog.chosun.com/wapleclub/7238828
    노무법인 와이즈 2013.12.17
  • 아웃소싱활용
    최근 4년새 중소기업의 아웃소싱 비율이 두배 이상 늘어났다. 비정규직 확대 추세와 맞물려 아웃소싱이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대한상공회의소(회장 손경식)는 직원 300명 이하 중소기업 300개사를 대상...
    노무법인 와이즈 2013.12.12
  • 파업과 마찬가지로 태업(怠業)에도 무노동 무임금 원칙이 적용되고, 근로자는 태업기간에 상응하는 유급휴일에 대한 임금의 지급을 구할 수 없다(대법2011다39946. 2013-11-28)
    파업과 마찬가지로 태업(怠業)에도 무노동 무임금 원칙이 적용되고, 근로자는 태업기간에 상응하는 유급휴일에 대한 임금의 지급을 구할 수 없다(대법2011다39946. 2013-11-28) 【...
    노무법인 와이즈 2013.12.10
  • 전자거래 분쟁 조정 신청하면 시효 중단
    법무부, 전자거래기본법 개정안 입법예고앞으로 전자거래와 관련해 분쟁조정을 신청하면 분쟁대상 권리의 소멸시효가 중단되게 된다.법무부는 11월 25일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전자문서 및 전자거래기...
    노무법인 와이즈 2013.11.26
  • 대법 '온라인음악 담합 네오위즈 과징금 부과 정당'
    대법원 2부(주심 이상훈 대법관)는 네오위즈인터넷이 "온라인 음악상품 담합행위에 대한 과징금 7억8천만원의 부과를 취소해 달라"며 공정거래위원회를 상대로 낸 소송에서 원고 패소로 판결한 원심을 확정...
    노무법인 와이즈 2013.11.26
  • 전교조 법외노조 관련 최근 기사 모음
    <전교조 법외노조 관련 기사 모음> <1> 전교조 "대규모 장외투쟁 시작"…교육현장 대혼란 불보듯(한국경제 2013-10-19) 조합원 투표서 '법외노조 선택' 파...
    노무법인 와이즈 2013.11.20
  • 경기도 학교비정규직 퇴근시간 1시간 앞당겨진다
    공공운수노조 전회련학교비정규직본부 경기지부(지부장 안명자)가 최근 파업을 벌인 가운데 경기도교육청이 노조의 핵심 요구안을 수용해 눈길을 끌고 있다.17일 지부와 전국여성노조 경기지부·전국학교비정규직...
    노무법인 와이즈 2013.11.20
  • 인천공항 비정규직 하청노동자들 전면파업 1주일 유예(2013.11.18.)
    고용안정 보장을 요구하며 전면파업을 예고했던 공공운수노조 인천공항지역지부(지부장 조성덕)가 하청업체와의 협상이 진전되면서 파업을 1주일 유예했다. 17일 지부에 따르면 파업을 하루 앞두고 지난 15...
    노무법인 와이즈 2013.11.20
  • 해외 가사도우미 고용의 문제점(2012.2.15. 조선일보 기사)
    집안일에 아이 영어 교육까지 담당.. 다섯 살, 두 살 남매를 키우는 주부 임지영(35·경기 분당)씨는 지난해 가을부터 필리핀에서 온 셀리(가명·38)씨와 한 집에 산다. 집안일을 돕...
    노무법인 와이즈 2013.11.14
글쓰기
처음목록 새로고침
처음페이지이전 10 페이지1234다음 10 페이지마지막페이지
노무법인 와이즈 ㅣ 사업자번호 : 488-87-00822 ㅣ 대표 : 박소민,안지훈
[본사] 주소 : 서울시 강서구 마곡중앙로171, 프라이빗타워 2차 708호 ㅣ 대표번호 : 02-2138-2743 ㅣ FAX : 02-2138-2797
[강남지사] 주소 : 서울시 서초구 강남대로69길 8, KI타워 1030호 ㅣ 대표번호 : 02-2135-2743 ㅣ FAX : 02-6280-2797
[와이즈컨설팅] 주소 : 서울시 강서구 마곡서로 152, 두산더랜드타워 A동 618호 ㅣ 대표번호 : 02-6953-4973 ㅣ FAX : 02-6953-4971
COPYRIGHT ⓒ 노무법인 와이즈 ALL RIGHT RESERVED. E-mail : wiselabor1@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