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무법인 와이즈 즐겨찾기
  • l
  • 견적 및 문의
  • l
  • ADMIN

LOGO

  • 법인소개
    • 와이즈 소개
    • 인사말
    • 노무법인 와이즈의 특징
    • 찾아오시는 길
  • 업무분야
    • 기업체 자문 및
      4대보험 사무대행
    • 인사컨설팅(HR컨설팅)
    • 각종 노동사건 처리
    • 집단적 노사관계업무 지원
    • 교육사업
    • 프랜차이즈 업무
    • 손해사정 업무
  • 구성원
    • 본사
    • 강남지사
    • 협력 및 자문위원단
  • 소식/자료
    • 공지사항
    • 보도자료
    • News & Law
  • 고객센터
    • 견적 및 문의
소식/자료
  • 공지사항
  • 보도자료
  • News & Law
  • HOME
  • 소식/자료
  • News & Law
CALRI New & Law

일용직 근로자에게 적용되는 근로조건(노동법률 2020년 2월호)

노무법인 와이즈 | 2020.02.03 13:45 | 조회 1867
  • 인쇄인쇄
  • 글꼴
  • 확대
  • 축소

[근로조건] 일용직 근로자에게 적용되는 근로조건

  • [2020년 2월호 vol.345]                    

들어가며


기업환경의 변화로 유연한 노동 인력의 필요성이 높아지면서 일용직, 기간제, 단시간근로자의 수가 계속 증가하고 있다. 특히 일용근로자는 필요에 따라 유연하게 인력운영이 가능하기 때문에 건설업, 제조업, 서비스업, 음식점업 등에서 없어서는 안 될 존재다. 

그런데 실무상 근로기준법이 적용되기 위한 일용근로자의 개념이 명확하지 않다 보니 근로기준법 적용상 오해의 소지가 많다. 일용근로자의 경우 주휴일, 연차유급휴가, 퇴직금 등 근로조건을 적용하는 기준이 상용근로자와 다르기 때문에 근로조건 적용기준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필요하다. 

일용근로자의 개념

근로기준법에는 일용근로자를 별도로 정의하는 규정이 없다. 일용근로자의 개념에 대해 고용노동부는 "근로계약을 1일 단위로 체결하고 그 날의 근로가 끝나면 사용종속관계도 끝나 계속고용이 보장되지 않는 자(근기 1451-12200, 1983.5.12.)"로 보고 있으며, 대법원은 "그때그때의 필요에 의해 사용하는 근로자"라고 보고 있다. 정리하면 일용근로자는 '근로계약을 1일 단위로 체결하고 그 날의 근로가 끝나면 근로관계가 종료돼 계속 고용이 보장되지 않는 근로자로서 소정근로일과 결근의 의미가 없는 근로자'를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현장에서는 일당제 근로자를 일용근로자로 판단하는 경향이 있으나, 일용근로는 임금 지급방법에 따른 개념이라기보다 기간의 정함이 있는 근로계약의 한 유형으로서 계속근로관계의 지속성에 따른 개념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일용근로자의 임금 

일용근로자는 매일매일 근로관계가 단절되므로, 임금은 시간급 또는 일급단위로 산정해 근로계약서의 근무시간 종료 직후에 지급하는 것이 원칙이다. 다만, 일용근로자라 하더라도 일정 업무 수행기간에 상시적으로 출근하거나 출근이 예정돼 1개월 이상의 계속근로가 예정된 경우에는 매일 계산된 임금을 월급 형태로 매월 1회 지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1일의 근로시간이 연장 또는 야간근로를 예정하고 있는 경우에는 근로계약상 지급하기로 정한 1일의 임금에 연장 또는 야간근로에 대한 가산임금이 포함되도록 포괄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일의 근로에 대해 10만원을 지급하기로 정하고 그날 오전 9시부터 오후 8시까지(휴게시간 1시간) 근로하기로 정한 경우, 시급은 '10만원÷(8시간+2시간×1.5)'으로 계산해 약 9,090원이 된다. 1일 임금을 소정근로시간과 1.5배 가산한 연장근로시간의 합계로 나눈 것이다. 따라서 통상임금은 시급인 9,090원에 8시간을 곱한 7만2,720원이 된다. 그런데 주의해야 할 점은 가산임금이 일급에 포함된 것으로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근로계약서에 해당 사항을 명시해야 한다는 것이다.  

일용근로자의 퇴직금

한 달에 4, 5일 정도만 일하는 일용근로자에게 퇴직금을 지급해야 할까? 아직도 일용근로자에게는 퇴직금을 주지 않아도 된다고 알고 있는 경우가 많다.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 제4조 제1항은 계속근로기간이 1년 이상, 4주간을 평균해 1주간의 소정근로시간이 15시간 이상인 근로자에게 퇴직금을 지급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일용근로자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위 요건을 충족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퇴직금을 지급할 의무가 발생한다.

퇴직금을 산정함에 있어 '계속근로기간'이란, 근로계약을 체결하고 해지될 때까지의 기간을 말한다. 기간의 정함이 있는 근로자의 계속근로 여부는 근로계약의 형식에 상관없이 실질을 중심으로 판단하며, 이는 일용근로자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대법원은 명목상 일용근로자라 하더라도 최소한 1개월에 4, 5일 내지 15일 정도 계속해서 근무해 일용관계가 중단되지 않고 일정 기간 계속돼 온 경우에는 상용근로자로 보고 근로기준법을 적용해야 한다는 입장이다(대법원 2006.04.28. 선고, 2004다66995-67004 판결). 예를 들어 건설 현장의 일용근로자가 공사현장에 기간의 정함이 없이 채용된 후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공사만료 시까지 계속근로가 예정돼 있는 경우에는 실질적으로 일용근로자라고 할 수 없어, 공사만료 시까지 고용관계가 계속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1999.9.22, 근기 68207-113). 

그런데 일용근로자의 퇴직금을 산정하기 위해 평균임금을 계산하고자 할 때 문제가 발생한다. 근무하는 날이 고르지 않고 근무장소와 근무일수, 임금액 또한 일정하지 않아 산정시기에 따라 평균임금의 변동이 크기 때문이다. 근로기준법 시행령 제3조에서는 일용근로자에 대해서는 고용노동부장관이 사업별 또는 직업별로 정하는 금액을 평균임금으로 정하도록 하고 있으나, 고용노동부장관은 현재까지 해당 규정에 따른 임금을 정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고용노동부장관의 결정이 아직 마련돼 있지 않는 이상 일용근로자의 경우 근로기준법 시행령 제4조의 '평균임금을 산정할 수 없는 경우'에 해당한다고 볼 여지가 있기는 하나, 산정사유가 발생하기 전 3개월간의 임금이 구체적으로 밝혀져 있는 경우에는 실제 지급받은 임금을 기초로 통상의 생활임금대로 산정하는 것이 타당하다(대법원 1995.2.28. 선고 94다8631 판결 참조). 물론, 일용근로자의 경우에도 근로기준법 제19조 제2항에 따라 평균임금이 그 근로자의 통상임금보다 적으면 그 통상임금액을 평균임금액으로 해서 퇴직금을 계산해야 한다(2013-11-29, 근로복지과-4042).

일용근로자의 휴일 및 휴가

숙박 및 음식점업의 경우, 성수기-비성수기 또는 계절적 특성으로 인해 근무일이 불규칙한 일용근로자가 많다. 이러한 경우 주휴일과 근로자의 날을 유급으로 보장해야 하는지가 문제 된다. 

일용근로자에 대해서도 근로자의 날과 같은 법정 유급휴일이 적용되는지에 대해, 대법원은 "근로기준법상의 휴일제도는 연속된 근로에서의 근로자의 피로회복과 건강회복 및 여가의 활용을 통한 인간으로서의 사회적-문화적 생활의 향유를 위해 마련된 것으로 이러한 유급휴일 제도를 규정한 규범적 목적에 비추어 보면 근로의 제공 없이도 근로자에게 임금을 지급하도록 한 유급휴일의 특별규정이 적용되기 위해서는 평상적인 근로관계, 즉 근로자가 근로를 제공해왔고 또한 계속적 근로 제공이 예정되어 있는 상태가 전제되어 있다"는 입장이다(대법원 2009.12.24. 선고, 2007다73277 판결). 

대법원의 입장에 따르면 연속된 근로관계가 예정되지 않은 순수 일용근로자에게는 근로자의 날을 유급휴일로 부여하지 않아도 되고 주휴일도 부여하지 않아도 된다. 다만, 일용근로자가 계속적으로 1일 단위 근로계약을 반복 체결해 실제 1주간 6일을 개근했다면 주휴일을 부여해야 한다는 것이 통상적인 판단이다. 즉 구체적 사실관계에 따라 실질적으로 판단해야 하는 것이다.

또 일용근로자라 하더라도 사실상 기간제 근로자와 같이 근무해 1개월을 개근하거나 1년간 80% 이상 출근한 경우라면 상용근로자와 마찬가지로 근로기준법 제60조에 따라 연차유급휴가가 발생한다. 따라서 현장에 일정 기간 사용이 예정된 일용근로자라면 연차유급휴가 요건에 따라 발생한 연차유급휴가를 부여하거나 미사용 시 수당을 지급해야 할 것이다.  

나가며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일용근로자는 계속근로 여부 또는 계속근로가 예정돼 있는지 여부에 따라 근로기준법의 적용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일용근로자를 사용하는 사업장은 유급휴일, 연차유급휴가, 퇴직금 등 근로기준법 규정을 적용함에 있어 주의를 기해야 한다. 

또한 근로기준법상 근로조건을 적용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실무상 일용근로자의 관리에 애먹는 것은 4대 사회보험(고용보험, 산재보험, 국민연금, 건강보험)의 가입 문제다. 일용근로자는 4대보험에 가입하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일용근로자의 4대보험 가입 여부와 가입 요건에 대해서는 다음 호에서 자세히 살펴본다.
       
                                                 
정여진                                      노무법인 와이즈 공인노무사                                
                                
저자이미지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목록으로
  • 공지 코로나 관련 노무관리 방안 및 연차 등 개정법(특강)
    "코로나 관련 노무관리"에 관한 내용입니다.(박소민 노무사)이에 대한 동영상 강의는 4/24/(금)에 오픈되었고, 정여진 노무사님 영상은 차주 5/1(금) 10시에 올라갈 예정입니다.영상명YOUTU...
    노무법인 와이즈 2020.04.14
  • 한국프랜차이즈경영학회, ‘프랜차이즈 ESG와 준법경영’ 학술지 자료(2022년12월17일)술대회 개최
    한국프랜차이즈경영학회, ‘프랜차이즈 ESG와 준법경영’ 추계학술대회 학술지 자료
    노무법인 와이즈 2023.01.06
  • 프랜차이즈 가맹점 근로자의 노동조건 개선에 관한 논의_노동법률 8월호
    프랜차이즈 가맹점 근로자의 노동조건 개선에 관한 논의[2022년 8월호 vol.375]▲이미지=클립아트코리아[월간노동법률] 박소민 노무법인 와이즈 대표공인노무사1. 서론 우리나라 프랜차이즈 브랜드 ...
    노무법인 와이즈 2022.08.01
  • 트랜스젠더 직원의 화장실 사용 제한의 위법성_노동법률 2022년 6월호
    여자 화장실 사용한 남직원, 성소수자라면 징계는?[2022년 6월호 vol.373]▲이미지=클립아트코리아[월간노동법률] 박소민 노무법인 와이즈 대표공인노무사1. 들어가며 필자는 공공기관의 각종 위원...
    노무법인 와이즈 2022.05.17
  • 간접고용의 형태에서 사용자 확정을 위한 판례법리(하)
    간접고용의 형태에서 사용자 확정을 위한 판례법리(하)[2021년 4월호 vol.0][월간노동법률] 박소민 노무법인 와이즈 대표공인노무사3. 공동사업주의 법리 가. 문제의 제기 다변화하는 간접고용의 ...
    노무법인 와이즈 2021.03.20
  • 간접고용의 형태에서 사용자 확정을 위한 판례법리 (상)
    간접고용의 형태에서 사용자 확정을 위한 판례법리 (상)[2021년 2월호 vol.0] ...
    노무법인 와이즈 2021.02.27
  • 노동법상 근로자대표제도에 대한 입법적 개선방안_노동법률 2월호
    [노사관계] 노동법상 근로자대표제도에 대한 입법적 개선방안 (박소민 박사)[2021년 2월호 vol.357] ...
    노무법인 와이즈 2021.02.02
  • 2021년 시행되는 개정노동법과 노사전망
    2021년 <월간조세> 2월호 이슈분석에 실릴 "2021년 노사전망과 개정노동법"입니다.
    노무법인 와이즈 2021.01.12
  • 최근 경사노위에서 합의된 근로자대표제도 개선안에 대한 검토_노동법률 2020년 12월호
    최근 경사노위에서 합의된 근로자대표제도 개선안에 대한 검토 [2020년 12월호 vol.355] ...
    노무법인 와이즈 2020.11.29
  • 대법원 판례법리를 통해 살펴본 프랜차이즈 가맹점주의 노조법상 근로자성(노동법률 6월호)
    대법원 판례법리를 통해 살펴본 프랜차이즈 가맹점주의 노조법상 근로자성 [노동법률 2020년 6월호 vol.349] ...
    노무법인 와이즈 2020.06.17
  • 노동법 영역에 대한 경제법 적용 여부(월간 노동법률 5월호 수록)
    [이슈포커스] 노동법 영역에 대한 경제법 적용 여부[2020년 5월호 vol.0] 1...
    노무법인 와이즈 2020.04.24
  • 최근 개정 노동법(1년 미만자 연차, 육아휴직 관련)
    최근 개정된 노동법 내용입니다(작성 : 정여진 노무사)- 1년 미만자 연차 관련 개정 근로기준법- 육아휴직 관련 개정 고용보험법령
    노무법인 와이즈 2020.04.14
  • 프랜차이즈 당사자 사이의 집단적 노사관계
    박소민 대표의 인하대 법학연구 논문입니다(2020.3.).
    노무법인 와이즈 2020.03.31
  • 상병휴직과 관련한 법적문제(노동법률 4월호)
    [인력운영] 상병휴직과 관련된 법적 문제[노동법률 2020년 4월호 vol.0] 1....
    노무법인 와이즈 2020.03.12
  • 일용직근로자에게 적용되는 4대보험(노동법률 2020년 3월호)
    일용직 근로자에게 적용되는 4대보험 [2020년 3월호 vol.346] ...
    노무법인 와이즈 2020.03.12
  • 프랜차이즈 가맹점주의 노동법상 근로자성(연구논문)
    노무법인 와이즈 대표 박소민 노무사의 "프랜차이즈 가맹점주의 노동법상 근로자성"에 관한 논문(2020년 3월_홍익법학연구 논문)입니다.
    노무법인 와이즈 2020.02.28
  • 일용직 근로자에게 적용되는 근로조건(노동법률 2020년 2월호)
    [근로조건] 일용직 근로자에게 적용되는 근로조건[2020년 2월호 vol.345] 들...
    노무법인 와이즈 2020.02.03
  • 신입사원에 대한 직장내괴롭힘 실태(2019.9)
    신입사원에 대한 직장내괴롭힘 실태에 관한 보고서입니다(2019.9).
    노무법인 와이즈 2019.09.16
  • 2019년 하반기 바뀌는 노동법률(이주원 노무사)
    노동법률 2019년 8월호에 실린 본 법인 '이주원노무사'의 기고글입니다.[이슈포커스] 하반기 달라지는 노동법률 및 노동정책 총정리 ...
    노무법인 와이즈 2019.07.31
  • 2019년 하반기 개정되는 노동정책 및 법률 내용(동영상 강의 포함)
    2019년 하반기 시행되는 개정 노동법 및 정책 내용입니다.(이주원, 정여진 노무사 작성)강의내용은 아래의 url 참조([25회] 하반기 달라지는 노동법률 및 노동정책 총정리①)https://www...
    노무법인 와이즈 2019.07.22
  • 2020년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인사노무대응방안(이주원)
    2018년 8월 HR인싸이트에 실린 본 법인 '이주원 노무사'의 기고글입니다.
    노무법인 와이즈 2019.07.22
글쓰기
처음목록 새로고침
처음페이지이전 10 페이지12345678910다음 10 페이지마지막페이지
노무법인 와이즈 ㅣ 사업자번호 : 488-87-00822 ㅣ 대표 : 박소민,안지훈
[본사] 주소 : 서울시 강서구 마곡중앙5로1길 20, 보타닉비즈타워 1010호, 1011호 ㅣ 대표번호 : 02-2138-2743 ㅣ FAX : 02-2138-2797
[강남지사] 주소 : 서울시 강남구 논현로75길4, 대명빌딩301호 ㅣ 대표번호 : 02-2135-2743 ㅣ FAX : 02-6280-2797
[와이즈컨설팅] 주소 : 서울시 강서구 마곡서로 152, 두산더랜드타워 A동 618호 ㅣ 대표번호 : 02-6953-4973 ㅣ FAX : 02-6953-4971
COPYRIGHT ⓒ 노무법인 와이즈 ALL RIGHT RESERVED. E-mail : wiselabor1@naver.com